Slack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팀 협업 메신저로, 채널 기반의 효율적인 소통 구조와 강력한 앱 통합 기능을 제공합니다. 2025년 현재 AI 기반 슬랙봇, 리스트 기능, 워크플로 자동화 등 혁신적인 기능이 추가되어 업무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lack의 기본 사용법부터 고급 활용 팁까지 상세히 안내합니다.
Slack이란?
Slack은 2013년 출시된 팀 협업 플랫폼으로, 이메일을 대체하여 실시간 소통과 파일 공유, 프로젝트 관리를 지원합니다. 웹, 데스크톱(Windows, macOS, Linux), 모바일(iOS, 안드로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기기에서 실시간 동기화됩니다.
2025년 10월 기준, Slack은 중첩된 브랜치가 있는 워크플로 기능을 도입하여 복잡한 프로세스 자동화가 가능해졌으며, AI 기반 슬랙봇이 개인 맞춤형 AI 비서로 업그레이드되어 대화, 파일, 프로젝트 관리, 일정 잡기 등 업무 전반을 지원합니다. 2,600개 이상의 앱과 통합 가능하여 Google Calendar, Notion, Asana 등 다양한 업무 도구를 Slack 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채널 관리 및 활용
Slack의 핵심은 채널입니다. 채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업무 소통이 체계적이고 투명해집니다.
채널 생성 및 분류
채널은 팀, 프로젝트, 주제별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공개 채널은 모든 팀원이 참여할 수 있으며, 비공개 채널은 초대된 사람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팀별 채널은 부서나 팀 단위로 만드는 채널입니다. “#마케팅”, “#개발”, “#디자인” 등 팀별로 채널을 만들어 팀 내부 소통을 관리합니다. 팀 전체 공지나 일상적인 소통이 이루어집니다.
프로젝트별 채널은 특정 프로젝트를 위한 임시 채널입니다. “#웹사이트-리뉴얼”, “#신제품-출시” 등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운영하고, 완료 후 아카이브합니다. 프로젝트 관련 모든 논의와 파일이 한곳에 모여 정보 접근성이 높아집니다.
주제별 채널은 특정 주제에 대한 논의나 정보 공유 채널입니다. “#랜덤”, “#질문”, “#공지사항”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업무 외 소통을 위한 채널도 팀 문화 형성에 도움이 됩니다.
채널 네이밍 규칙
효과적인 채널 관리를 위해 네이밍 규칙을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접두어를 활용하면 채널을 쉽게 분류할 수 있습니다.
- team-: 팀별 채널 (예: team-dev, team-marketing)
- proj-: 프로젝트 채널 (예: proj-website-renewal)
- topic-: 주제별 채널 (예: topic-qa, topic-announcements)
- ext-: 외부 파트너와 공유하는 채널 (예: ext-vendor-a)
이러한 규칙을 팀 전체가 따르면 채널을 빠르게 찾을 수 있고, 신규 팀원도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
알림 설정 및 관리
Slack의 알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면 중요한 메시지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업무 집중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알림 우선순위 설정
Slack에서는 채널별, DM별로 알림 우선순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채널은 모든 메시지에 알림을 받고, 덜 중요한 채널은 멘션만 알림 받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채널 이름 옆의 벨 아이콘을 클릭하면 알림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모든 새 메시지”, “멘션과 키워드만”, “알림 끄기” 등 3가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전역 알림 설정에서는 업무 시간을 지정하여 업무 시간 외에는 알림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방해 금지 모드를 활용하면 집중이 필요한 시간 동안 모든 알림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 요약 기능
2025년 업데이트로 유료 플랜 사용자는 10개 이상의 읽지 않은 메시지가 있는 채널에서 최신 메시지 요약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I가 자동으로 중요한 메시지를 요약하여 보여주므로, 많은 메시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긴 회의나 외출 후 돌아왔을 때, 요약 기능을 활용하면 놓친 내용을 빠르게 따라잡을 수 있습니다. 요약은 주요 결정 사항, 중요한 질문, 액션 아이템 등을 중심으로 생성됩니다.
앱 통합 및 워크플로
Slack의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2,600개 이상의 앱과 통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주요 앱 통합
Google Calendar 통합으로 Slack에서 바로 일정을 확인하고, 회의 시작 전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슬래시 커맨드(/gcal)로 일정을 생성하거나 조회할 수 있습니다.
Notion 통합으로 Notion 페이지 링크를 공유하면 미리보기가 표시되며, Notion에서 페이지가 업데이트되면 Slack에 알림이 전송됩니다.
Asana 통합으로 Slack 메시지에서 바로 작업을 생성하고, 작업 마감일이 다가오면 Slack에 리마인더가 전송됩니다.
GitHub 통합으로 Pull Request, Issue, Commit 등 코드 변경 사항을 Slack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Zoom 통합으로 Slack 채널이나 DM에서 바로 Zoom 회의를 시작할 수 있으며, 회의 링크가 자동으로 공유됩니다.
워크플로 빌더
워크플로 빌더는 코딩 없이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기능입니다. 2025년 10월 업데이트로 중첩된 브랜치 기능이 추가되어 더욱 복잡한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규 팀원 온보딩 워크플로를 만들면, 신규 팀원이 입사하면 자동으로 환영 메시지를 보내고, 필요한 채널에 초대하고, 온보딩 체크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일일 스탠드업 워크플로를 만들면 매일 아침 팀원들에게 오늘 할 일을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모든 응답을 채널에 자동으로 게시할 수 있습니다.
Slack AI 활용
2025년 Slack의 가장 큰 변화는 AI 기능 강화입니다. AI 기반 슬랙봇이 개인 맞춤형 AI 비서로 업그레이드되었습니다.
AI 슬랙봇 기능
메시지 요약은 긴 스레드나 채널의 메시지를 AI가 자동으로 요약해줍니다. 핵심 내용만 빠르게 파악할 수 있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자동 번역은 다국어 팀에서 유용합니다. 메시지를 자동으로 번역하여 언어 장벽 없이 소통할 수 있습니다.
작업 분류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액션 아이템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분류합니다. 중요한 요청이나 할 일을 놓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
회의 내용 정리는 Slack 허들(음성/화상 회의) 내용을 AI가 자동으로 요약하고 정리합니다. 회의록을 별도로 작성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Slack 리스트 기능
2025년 새로 도입된 Slack 리스트 기능은 대화 중 중요한 작업을 구조화하고 추적할 수 있게 합니다. 채널 내에서 마감 기한, 소유자, 리소스 등 업무 핵심 요소를 리스트로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메시지를 리스트 항목으로 변환하면 체크리스트처럼 관리할 수 있으며, 진행 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도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Slack 내에서 간단한 작업 관리가 가능합니다.
효율적 소통 팁
Slack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소통 팁을 소개합니다.
스레드 활용
메시지에 답변할 때 스레드를 사용하면 채널이 깔끔하게 유지됩니다. 메시지 위에 마우스를 올리고 “스레드에서 답장” 아이콘을 클릭하면 스레드가 생성됩니다.
스레드는 특정 주제에 대한 논의를 한곳에 모으므로, 나중에 대화 내용을 찾기 쉽습니다. 채널에 메시지를 바로 보내면 다른 대화와 섞여 흐름이 끊기지만, 스레드를 사용하면 깔끔하게 정리됩니다.
슬래시 커맨드
슬래시 커맨드(/)는 Slack의 강력한 기능을 빠르게 실행하는 방법입니다.
- /remind: 리마인더 설정 (예: /remind me to review PR in 2 hours)
- /status: 상태 메시지 설정 (예: /status 회의 중)
- /dnd: 방해 금지 모드 켜기/끄기
- /archive: 현재 채널 아카이브
- /invite: 채널에 사용자 초대
검색 활용
Slack의 검색 기능은 매우 강력합니다. 상단 검색창에서 메시지, 파일, 사람을 모두 검색할 수 있습니다.
검색 연산자를 사용하면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from:@사용자: 특정 사용자의 메시지 검색
- in:#채널: 특정 채널 내 검색
- has:link: 링크가 포함된 메시지 검색
- after:2025-01-01: 특정 날짜 이후 메시지 검색
이모지 리액션
이모지 리액션은 빠른 피드백을 주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메시지에 👍, ✅, 👀 등의 이모지를 추가하여 읽었음, 동의, 확인 중 등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커스텀 이모지를 만들어 팀 문화를 반영할 수도 있습니다. 회사 로고, 제품 아이콘, 팀 내 용어 등을 이모지로 만들면 소통이 더욱 재미있고 효율적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 Slack 무료 플랜으로 충분한가요?
무료 플랜은 최근 90일간의 메시지만 검색할 수 있고, 워크스페이스당 10개 앱 통합으로 제한됩니다. 소규모 팀이나 시험 사용에는 충분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용하려면 유료 플랜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 Slack과 Microsoft Teams 중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하나요?
Slack은 앱 통합이 강력하고 사용자 경험이 우수하며, Teams는 Microsoft 365와의 통합이 뛰어납니다. 이미 Microsoft 생태계를 사용 중이라면 Teams, 다양한 앱을 통합하려면 Slack이 유리합니다.
❓ 채널이 너무 많아지면 어떻게 관리하나요?
채널을 주기적으로 정리하고, 활동이 없는 채널은 아카이브하세요. 즐겨찾기 기능으로 자주 사용하는 채널을 상단에 고정하고, 채널 섹션을 만들어 분류하면 관리가 쉬워집니다.
❓ Slack 워크플로는 어떻게 만드나요?
워크스페이스 메뉴에서 '도구' → '워크플로 빌더'를 선택하면 워크플로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트리거를 선택하고, 단계별로 액션을 추가하면 코딩 없이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 Slack Connect는 무엇인가요?
Slack Connect는 외부 파트너나 고객과 안전하게 협업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별도의 워크스페이스를 만들지 않고도 외부 사용자를 채널에 초대하여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습니다.